본문 바로가기
AI 활용방법/Stable Diffusion

스테이블 디퓨전 2 - ComfyUI 설치 방법

by ai_reference 2025. 2. 17.
반응형

 

지난 콘텐츠를 통해서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스테이블 디퓨전을 활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이미지 생성 인터페이스 설치 및 구동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바로 ComfyUI 입니다.


 

ComfyUI란?

 

ComfyUI는 스테이블 디퓨전 모델을 기반으로 한 오픈소스 이미지 생성 인터페이스입니다. 노드 기반 시스템을 사용해 복잡한 이미지 생성 워크플로우를 직관적으로 만들 수 있어 많은 사용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스테이블 디퓨전 모델(SD1.5, SD2.0, SDXL, FLUX, SVD, Cascade 등)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로컬 PC의 성능에 맞추어 원하는 모델을 선택하고 다양한 창작 활동이 가능합니다.

 

 

 

시스템 요구사항

 

ComfyUI를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하드웨어 사양을 권장합니다.

 

스테이블 디퓨전의 경우 엔비디아(NVIDIA) 그래픽 카드와 호환되어 이미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필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GPU가 아닌 CPU 기반으로 모델을 구동할 수 있지만 그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사실상 사용하기 힘듭니다. 그래서 AI 시장 속 엔비디아 주가가 강세일 수밖에 없는 것이죠. 결론적으로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가 필요하고 높은 VRAM일 수록 이미지 추론 및 연산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RTX 4090 및 5090의 24GB VRAM이 로컬 PC에서 그나마 제일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만..그래픽 카드 자체의 가격도 비싸지만 그것과 더불어 함께 갖추어야 하는 PC 사양까지 고려하면 굉장히 비싸질 수 밖에 없습니다.

 

제 그래픽 카드의 사양은 최소 수준인 8GB VRAM인데.. 그럭저럭 돌아가고 있으니 반드시 고가의 그래픽 카드를 사야 하나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지만.. 버벅거림은 있습니다..)

 

나머지 권장 사양의 경우 적당히 수준에 맞추어 준비하면 좋을 것 같고 저장공간은 꼭 HDD가 아닌 SSD로 구비하여 세팅해야 좋습니다. 스테이블 디퓨전은 단일 모델이 아닌 수십 개의 모델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구동되기 때문에 해당 모델들이 저장된 장치의 성능 또한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운영체제는 기본적으로 윈도우를 추천드립니다. 애플의 맥 OS 또한 스테이블 디퓨전 및 ComfyUI 사용이 가능하지만, 잘 아시다시피 애플 특유의 부족한 호환성 때문에 쉽지 않습니다.

 

 

 

ComfyUI 다운로드 방법?

 

ComfyUI를 설치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만 여기서는 쉽고 간편한 "ComfyUI_포터블 설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깃허브(GitHub) 사이트에 들어가 ComfyUI 파일 다운받고, 압축 해제하고, 폴더 내 run_nvidia_gpu.bat 파일을 실행하면 끝입니다.

 

 

그럼 이제부터 차근차근 하나씩 짚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깃허브 사이트 접속부터 ComfyUI 실행까지!

 

링크 : https://github.com/comfyanonymous/ComfyUI

 

GitHub - comfyanonymous/ComfyUI: The most powerful and modular diffusion model GUI, api and backend with a graph/nodes interface

The most powerful and modular diffusion model GUI, api and backend with a graph/nodes interface. - comfyanonymous/ComfyUI

github.com

 

 

 

상기 링크를 통해 ComfyUI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접속하면 뭔가 복잡한 느낌일 수 있습니다. 가뿐히 무시하고 아래로, 아래로, 아래로 스크롤을 내려봅니다. 계속 내리다 보면 Installing 챕터가 아래와 같이 나오게 됩니다.

 

바로 Direct link to download 링크를 눌러서 최신 버전의 ComfyUI를 다운 받을 수도 있습니다만, 페이지 구경 차원으로 releases page 링크를 눌러봅니다. 그러면 지금까지 업데이트된 ComfyUI 모든 Assets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가급적 자잘한 버그 수정 및 유저 친화적 업데이트가 완료된 최신 버전의 ComfyUI를 다운 받는 것이 좋습니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전 버전의 ComfyUI가 로컬 PC 사양에 호환이 더 잘 될 수 있습니다. 큰 문제가 있는 게 아니라면 우선 최신 버전을 다운 받아 봅니다. 

 

 

상기 이미지 링크를 통해 다운 받은 ComfyUI_window_portable_nvidia.7z 파일을 원하는 위치 경로를 설정하고 압축 해제해 줍니다. 이후 생성된 폴더에 들어가게 되면 다음 같은 폴더 구성이 보일 것입니다. 폴더에 들어가 run_nvidia_gpu.bat 파일을 실행합니다. 이후 CMD 창이 열리고 스테이블 디퓨전 및 ComfyUI 실행에 필요한 여러 모델들과 파일 다운로드를 자동으로 시작하게 됩니다. 

 

CMD 창에서 자동으로 진행되는 다운로드의 경우 인터넷 속도에 따라 다운 완료 시간이 상이할 수밖에 없으니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 봅니다. 깃허브 페이지에서 초기에 받았던 알집의 경우 1.54GB 정도의 용량이었지만, ComfyUI 작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모델 및 파일을 모두 받게 되면 상당한 용량을 차지하게 될 것입니다. 제 경우에는 기본 파일 외 추가적인 모델 및 커스텀 노드 등을 다운 받다보니 현재 ComfyUI 폴더 용량이 141GB입니다. 심지어 ckpt 모델 파일의 경우 별도 폴더에 링크를 걸어 사용하고 있어서 합산되지 않은 수치입니다. 이처럼 스테이블 디퓨전과 관련된 모델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SSD 용량이 크면 클수록 좋습니다.

 

 

기본적인 모델 및 파일 다운이 완료되면 이제부터 run_nvidia_gpu.bat 파일을 실행하여 활성화된 ComfyUI 창에서 다양한 노드를 구성해 보며 스테이블 디퓨전을 마음껏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만 유의해야 할 점은 run_nvidia_gpu.bat 파일을 별도로 바탕화면에 복사해서 사용할 수 없으며, 반드시 ComfyUI 포터블 폴더 경로 내 위치한 상태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ComfyUI 구동에 필요한 모든 Python 환경 및 CUDA 라이브러리 등이 해당 폴더 경로 내 설치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실행 중인 cmd 창이 꺼지면 ComfyUI 연결이 끊기는 점도 기억해 두시길 바랍니다.

 

run_nvidia_gpi_bat의 cmd 창이 종료되어 우측 상단에 경고 메시지 뜬 상태

 

 

 

지금까지 ComfyUI의 다운로드부터 실행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처음에는 조금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익숙해지면 강력하고 유연한 도구라는 것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다음 콘텐츠에서는 스테이블 디퓨전의 꽃이라 할 수 있는 ckpt 모델을 다운 받고 세팅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


반응형